회전익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육군의 차세대 헬리곱터 Bell V-280 Valor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헬리곱터(회전익기)는 언제부터 개발 운용되기 시작됐으며, 어떤 특징이 있을까? 15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‘나선형 나사’를 회전시키면 비행체가 공중으로 솟아 오를 수 있다는 개념을 갖고 있었다. 회전익기는 공중정지, 전·후·좌·우 비행, 수직 이·착륙, 저속비행 등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. ▼하지만 로터에 의해 양력과 추진력을 얻기 때문에 추진력을 얻기 위해 기체를 기울이면 양력을 잃게 돼 결과적으로 구조적인 속도한계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최대속도, 항속거리, 항속시간에 대한 제한을 갖게 된다. 현재와 같은 단일 회전익 형태의 최초 회전익기는 1939년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망명한 시콜스키가 개발한 V-300이다. ▼군용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후반 미국 시콜스키 사의 R-4가 .. 더보기 이전 1 다음